kt 요금제 변경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요금제를 변경할 경우
언제부터 적용이 되는지
월 중간에 요금제를 변경하면
내야하는 돈은 얼마인지에 대해서
알아봤었는데요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대리점을 가지 않고
집에서 요금제를 변경하는
나머지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부 포스팅 에서 알려드린 순서대로
진행을 하시면 위의 그림 과같은
3가지 질문에 대답을 해야 하는데요
본인의 상황에 맞춰서
답을 정하시면 됩니다
<나에게 적합한 요금제>
요금제를 결정하는 기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 입니다
예전에는 통화나 문자를 이용해서
연락을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카톡같은
메신저 어플을 이용하거나
통화 역시 데이터를 이용하는
보이스톡을 많이 사용하고 있죠
영업을 하는 등의 이유로
반드시 통화를 해야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월 사용 데이터를 기준으로
요금제를 정하시면 됩니다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월 데이터 사용량이 1GB 음성통화 60분으로
적합한 요금제를 검색해보겠습니다
직장,집,카페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하니
1GB 정도의 데이터면 충분하더군요
조건에 맞는 요금제가 아래쪽에 표시되는데
데이터와 음성통화 양을 살펴보시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조건을 바꿔서
추가로 조회해보시면 됩니다
<kt 요금제 변경 신청하기>
마음에 드는 요금제가 있다면
오른쪽에 있는 상품보기안에 있는
자세히보기를 클릭해주세요
해당 요금제 안내 창으로 연결되면
요금제의 종류를 한번 더 확인하시고
신청/변경하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기존의 요금제로 돌아갈 수 없을 수 있으니
주의하라는 안내창이 나오고
확인을 클릭하면 마지막으로
요금제 변경에 대한 안내창이 나오는데
제일 아래쪽의 변경을 클릭하시면
kt 요금제 변경이 완료됩니다
<요금제 변경과 할인율의 변경>
대부분의 경우 휴대폰 요금 할인으로
휴대폰 할부금을 납부하고 있는데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하면 할인율이 내려가고
그러면 더 많은 할부금을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실제 계산을 해보면
저렴한 요금제 일수록
더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료가 높은 요금제로 가면
할인되는 금액이 늘어나긴 하지만
늘어나는 기본료가 언제나
할인액보다 높도록 되어 있습니다
예를들어 3만원 짜리 요금제에서
5,000원의 요금 할인을 해주는데
4만원 짜리 요금제로 변경을 하면
10,000원의 요금 할인을 해준다
그렇다면 할인액은 5,000원이 늘었지만
기본료가 10,000원이 늘었기 때문에
30.000(기본료) - 5,000(할인) = 25,000
40,000(기본료) - 10,000(할인) = 30,000
결국 실제 부담금은
5,000원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
즉, 내가 불편하지 않을 정도의
데이터와 통화를 제공하는 요금제 중에서
가장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하시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소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