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p 카드등록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사람의 거래 방식은
물건과 물건을 주고 받던
물물 거래에서 출발해서
현금거래 카드거래를 거쳐왔으며
최근에는 인터넷,모바일 결제 까지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인터넷,모바일의 결제에서
카드 결제를 하고 싶은 경우
isp 서비스를 이용하게 됩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선느
우선 결제에 사용할 isp 카드등록을
하셔야 하는데요
isp 카드등록 방법과
서비스의 부가이용료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isp 서비스의 시작>
기존의 온라인 카드 결제의 경우
카드번호 16자리 ,비밀번호 2자리,
카드 유효기간 등
카드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많아서
상당히 번거로운 방식이죠
그때 등장한 것이 isp 인데
결제에 필요한 카드번호,유효기간 등을
사전에 isp 카드등록으로 등록해두고
결제 비밀번호를 설정해서
쉽게 결제를 하도록 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무료 서비스라서
돈이 들어가지 않는데
몇몇 분의 경우
월 550원의 정보이용료가
매달 청구되기도 합니다
isp는 신용카드 정보를 보관하는
일종의 인증서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초 저장 장소 선택에 따라
isp 인증서 위치가 결정되는데
만약 isp 인증서가 모바일에 있는데
PC에서 isp 결제를 하려고 하면
컴퓨터로 isp 인증서를
암호화 해서 전송해야 하고
이 암호 전송 서비스의 이용료가
매달 550원 입니다
위의 전송 서비스만 이용하지 않으면
isp를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즘은 워낙 인터넷 결제가 많고
550원이 소액이다보니
가입해 놓고 몇달째 요금이 나가지만
모르는 분들도 상당히 많이 있더군요
(isp 유료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포스팅)
내가 isp 유료 서비스에
가입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과
isp를 무료로 이용하는 방법은
예전에 포스팅을 했었죠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isp 카드등록 하기>
isp가 잘 사용하기만 하면
상당히 편한 결제 수단인데
무료인줄 알았다가
나중에 매달 돈이 나간다는 사실을 알고
isp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분들이 있어서
isp 카드등록 에 앞서서
유료 서비스에 대해서
먼저 정리를 해봤습니다
그럼 이제 실제로 isp에서 이용할
카드를 등록해볼텐데요
http://service.vp.co.kr/index.vp
(브이피(주) 홈페이지 링크)
isp 카드등록은 isp의 서비스 회사인
브이피(주)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isp 카드등록의 나머지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