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ime 관리자계정 접속하는 방법 안내

오늘 포스팅에서는

iptime 관리자계정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통화가 가장 중요한 기능이었던

과거의 휴대폰과 달리


현대의 스마트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기능입니다


메신저,SNS,게임 등등

대부분의 컨텐츠는 데이터를 소비하고



따라서 데이터의 양에 따라서

요금제를 결제하는데요


데이터의 양이 많은 만큼

정액요금도 증가하기 때문에


iptime 같은 공유기를 구입해서

개인 와이파이를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iptime의 설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iptime 관리자계정에 접속해야 하는데

그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iptime 관리자계정 접속 방법>


인터넷 주소창에 공유기의 ip주소를 입력하면

관리자계정의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으며


관리자계정 페이지에서

공유기의 설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계정에 비밀번호를 걸 수 있으며

와이파이의 사용여부, 이름, 비밀번호도 걸 수 있죠


그럼 우선 내 공유기의 ip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흔하게 가장 많이 알려주는 방법이



네이버에 내아이피로 검색하면

ip주소를 알 수 있다는 내용 입니다


실제 검색을 해보면

아래쪽에 빨간 글씨로 ip주소가 나오지만


저 ip주소를 주소창에 입력을 해도

iptime 관리자계정으로 연결되지 않습니다

 

 

<컴퓨터의 ip 공유기의 ip>


ip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기기에게 부여되는 주소 입니다


공유기 역시 인턴세에 연결되어 있는

엄연한 기기로 분류되며


커퓨터 ip와는 다른 ip가

할당되어 있습니다


공유기의 ip주소 확인은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시작을 클릭하고

바로 위의 검색창에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위쪽에 나타나는 검색 결과 중에서

프로그램 항목에 있는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해주세요


윈도우와는 이질적인 검은색 바탕에

영어가 쓰여 있는 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iptime 관리자계정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공유기 ip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와


iptime 관리자계정 페이지로 접속하는 과정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