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번호 검색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건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는
지번을 사용하는 구주소 형식과
도로명과 건물 번호를
사용하는 새주소 형식이 있습니다
구주소의 경우 건물이 지어지는
순서에 따라서 건물 번호를
붙이는 형식이었는데
계획도시가 아닌 지역에서는
건물이 지어지는 순서가
일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조차도
지번으로 주소를 찾기가 어려웠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큰 도로에 이름을 붙이고
도로의 시작 부분에서
끝까지 번호를 붙이는 형식의
새주소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새주소의 문제와 건물 번호 검색>
아이디어 자체는 굉장히 좋았으나
적용 후 몇가지 문제가 생겼는데
첫번째는 네비의 보급으로 인한
무의미함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보편화 되면서
누구나 스마트폰을 가지고 다니며
스마트폰에는 GPS와 네비가 있어서
내 위치와 찾고자 하는 건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초행길 이라도
길찾기를 쉽게 하겠다는 목적은
스마트폰 네비로 달성되기 때문에
새주소의 의미가 거의 없으며
오히려 새로운 주소를 외워야 하는
불편한 상황만 연출이 되었죠
새주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니
잘 외우지 모하고 그래서 가끔 슬 때마다
구주소 새주소 변환을 톻애서
도로명과 건물 번호 검색을 하게 됩니다
<도로명, 건물 번호 검색 방법>
구주소를 알고 있거나
혹은 주소를 아예 모르지만
건물의 명칭을 알고 있는 경우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을 이용하면
해당 건물의 도로며과 건물 번호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http://www.juso.go.kr/openIndexPage.do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접속해주시면 됩니다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도로명주소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의 안내와
스마트폰 어플로
건물 번호 검색 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