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파일 용량 줄이기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엑셀파일 용량 줄이기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

엑셀을 사용하시는 분이 많은데


대용량 데이터의 특성상

용량이 큰 경우가 많습니다



용량이 너무 크기 때문에

첨부파일로 보내기 어렵거나

관리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는데


엑셀파일 용량 줄이기로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3가지 정도 방법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니


모든 방법을 읽어보시고

자신에게 가장 좋은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엑셀파일 용량 줄이기 - 그림압축>


원본 크기가 100 인 그림 파일을

엑셀에 10 크기로 첨부하더라도


원본 100 상태의 화질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이미지의 화질을

일괄적으로 낮추는 것이

그림압축 입니다



단 이 방법의 경우

이미지의 화질이 낮아질 수 있으니


이미지의 화질이 중요하신 분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엑셀파일 용량 줄이기 - 그림압축 하기>


용량을 줄이고 싶은 엑셀 파일을

엑셀로 열어주시고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를 눌러서

저장하기 창을 열어주세요



다른 이름으로 저장 창 아래에 있는

도구 항목에서 그림 압축을 선택해주세요



그림을 어느정도 화질로

일괄 압축할지 선택하는 창이 열리는데


대상 출력의 정보를 읽어보시고

적절한 화질을 선택해주세요

 

 

<엑셀파일 용량 줄이기 - 바이너리 통합문서>


두번째 방법은 문서 저장 양식을

엑셀 바이너리 통합 문서 로

지정하는 것인데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를누르시고

파일 형식에서 바이너리 통합 문서를

선택하고 저장하시면 됩니다



컴퓨터는 0 과 1 이외에는

이해하지 못하는 기계이기 대문에


모든 컴퓨터 파일은 0 과 1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나


프로그램의 편의를 위해서

추가 기능이 붙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추가 기능을 모두 제거하고

0 과 1로 이루어진 파일을

바이너리 파일 이라고 합니다


추가기능이 제거 된 만큼

용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단, 바이너리 문서 파일의 경우

엑셀 2007 버전에 추가되었기 때문에


엑셀 2007 미만 버전에서는

열어볼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확장자도 xlsx 가 아니라

xlsb 를 사용하기 때문에


엑셀 이외의 프로그램에서

제대로 인식이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해당 엑셀 파일을 열어보는 사람이

2007 버전 이상의 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람인 경우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