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팟인코더 고화질인코딩 프레임과 영상크기

다음팟인코더 고화질인코딩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동영상의 화질을 결정하는 요소는

총 3가지가 있는데요


1부 포스팅에서는

첫번째 요소를 알아봤었죠


다음팟인코더 고화질인코딩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남은 2가지 요소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세부설정>


1부에서 알려드린 방법으로

동영상을 불러오신 뒤에



다음팟 인코더 제일 아래를 보시면

세부설정 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세부설정 안에서 코덱설정에

비디오 코덱 앞의 +를 클릭하시면


다음팟인코더 고화질인코딩을 위한

영상에 관한 설정이 나타납니다


우선 1부에 알려드린 부분을

먼저 설정을 해주세요

<요소2. 비디오 품질>


당연히 비디오 품질의 경우는

높을 수록 화질이 좋습니다

비디오품질을 최대로 설정하시고



압축방식을 비트레이트,품질 기준

2번 인코딩을 설정해주세요


<요소3. 프레임(fps)>


영상은 멈춰있는 사진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 인데요


프레임은 이 때 사용된

사진의 장 수를 말합니다


요소1과 요소2가 영상의 화질을

결정하는 요소였다고 한다면


프레임은 영상의 부드러움을

결정하는 요소 입니다



40 프레임의 움짤 입니다

상당히 부드럽죠?



같은 사진의 20프레임 움짤 입니다

움짤 자체가 약간 투박한 느낌이 들죠?


화질 자체는 전혀 변화가 없는데

화질이 떨어져보이기 까지 합니다



프레임은 원본 영상의 비율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화질이 높습니다


원본 영상이 24프레임인데

60프레임으로 설정해봐야

화질이 더 좋아지지는 않습니다

 

 

<리사이즈 필터>


리사이즈 필터는 인코딩을 하는

속도를 결정하는 옵션 입니다


다음팟인코더 고화질인코딩은

당연히 인코딩 속도를 느리게 설정해야 합니다


<화면크기>



마지막으로 화면크기 옵션 입니다


화면 크기가 큰 영상을

작은 크기로 줄이는 경우에는

화질의 변화가 없습니다


반면 작은 크기의 영상을

큰 크기로 바꾸면 화질이 떨어집니다


작은 크기의 동영상 이라고 해도

동여상 플레이어의 전체화면 기능이 있으니

영상의 크기를 늘려서 인코딩할 필요는 없습니다


영상의 크기를 줄이는 경우에는 사용하시고

아니라면 원본 크기 사용으로 해주세요